Swift

Hits

2. 옵셔널 값 처리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해주는 생성자 Int(문자열)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자. 숫자로 바꿀 수 있는 문자열 "123"이 입력되면 숫자로 변환할 수 있지만, 그럴 수 없는 일반 문자열이 입력되면 잠재적인 오류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Int(문자열)은 그냥 정수가 아니라 옵셔널 타입의 정수값을 반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Int 구조체의 생성자를 정의하는 구문 일부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1
2
3
extension Int {
    public init?(_ text: String, radix: Int = default)
}

Int(문자열) 구문이 반환하는 옵셔널 타입을 분석해보면, "안녕하세요"처럼 숫자로 바꿀 수 없는 문자열이 입력되었을 떄 옵셔널 타입에는 nil이 할당된 상태로 반환된다. 다른 문자열이 입력되어 변환에 성공하면 Optional(123)이라는 옵셔널 값이 할당된다. 어쨋거나 두 경우 모두 옵셔널 타입으로 반환되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렇게 전달받은 옵셔널 타입의 결과값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옵셔널 타입은 애초에 연산을 지원하지 않는 타입이다. 따라서 옵셔널 타입과 일반 타입은 서로 연산할 수 없으며 옵셔널 타입끼리의 연산이나 결합도 지원하지 않는다. 옵셔널 Int 타입과 일반 Int 타입의 연산도, 옵셔널 String과 일반 String 결합도 모두 불가능하다.

1
2
3
4
5
// ( x ) : 옵셔널 타입은 결합 연산 또는 더하기 연산이 가능한 데이터 타입이 아님
Int("123") + Int("123")

// ( x ) : Int? 와 Int 는 서로 다른 타입이므로 연산이 불가능함
Int("123") + 30

이 옵셔널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리가 결과값으로 전달받은 것은 Optional이라는 객체이다. 그 내부에 우리가 원하는 값이 들어있을 것이다. 이 값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사용하려면 실제 값을 둘러싼 옵셔널 객체를 해제해야 한다. 옵셔널 객체를 해제하면 일반 타입의 값이 되는데, 이 값이 비로소 우리가 직접 사용할 수 잇는 값이다. 이처럼 옵셔널 객체를 해제하고 내부에 있는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옵셔널 해제라고 한다. 다른 말로 옵셔널 언래핑(Optional Unwrapping)이라고도 한다.

옵셔널 타입의 값을 연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

옵셔널 해제 방식은 명시적 해제묵시적 해제로 나누어진다. 명시적 해제는 다시 강제적인 해제비강제적인 해제로 나눌 수 있고 묵시적 해제는 각각 컴파일러에 의한 자동 해제연산자를 이용한 자동 해제로 나눌 수 있다.

옵셔널 해제 방식

차례대로 각 해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학습할 것은 명시적 해제,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강제 해제이다. 강제 해제는 옵셔널 값의 nil 여부와 관계없이 옵셔널을 무조건 해제하는 방식으로, 스위프트 공식 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로는 Forced Unwrapping이다. 정확한 의미로는 옵셔널을 벗겨내는 것이지만, 이 강의에서는 편의상 강제 해제라고 부르겠다.

2.1 옵셔널 강제 해제

옵셔널을 강제 해제하는 방법은 무척 단순하다. 옵셔널 타입의 값 뒤에 !기호만 붙여주면 된다. 이렇게 처리해 주면 옵셔널 객체가 해제되고, 그 내부에 저장된 값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된 ! 기호를 가리켜 옵셔널에 대한 ‘강제 해제 연산자(Forced-Unwrapping Operator)’라고 한다. 이와 관련된 다음 예제를 살펴보자. 옵셔널 Int 타입으로 선언된 optInt를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을 추출하는 구문이다.

1
2
3
4
5
// 옵셔널 타입의 변수 선언
var optInt: Int? = 3

print("옵셔널 자체의 값 : \(optInt)")
print("!로 강제해제한 값 : \(optInt!)")

다음은 위 구문을 실행한 결과이다.

1
2
옵셔널 자체의 값 : Optional(3)
!로 강제해제한 값 : 3

뱐수 optInt를 Int 타입으로 정의하면서 ?를 붙여 옵셔널 타입으로 선언했다. 옵셔널 타입에 대입된 값은 옵셔널 객체로 감싸 처리되므로, 변수 자체를 출력하면 ‘Optional(3)’이라는 값이 출력된다. 이어서 두 번째 print 구문을 살펴보자. optInt 뒤에 ! 연산자를 붙였더니 3이 출력되었다. 이는 옵셔널 타입의 값이 ! 연산자 덕분에 해제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옵셔널 타입으로부터 값을 추출하려면 옵셔널 값 뒤에 ! 연산자를 붙이면 된다. 앞에서 옵셔널 타입끼리 연산은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했지만,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하면 일반 타입으로 해제되므로 연산이 가능하다.

1
2
Int("123")! + Int("123")! // 246
Int("123")! + 30 // 153

여기서 이상한점이 있다. 옵셔널 타입의 변수나 상수에 ! 연산자만 붙이면 일반 타입처럼 사용할 수 있는 앞서 설명대로라면 그냥 모든 옵셔널 타입에 ! 연산자를 붙여서 사용해버리면 되는것이다. 게다가 옵셔널 변수의 값이 nil일 때도 강제 해제 연산자를 붙일수는 있는데, 실제로 값이 nil인 옵셔널 변수에 이 연산자를 붙이면 오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된다면 굳이 힘들게 옵셔널 타입을 사용하는 의미가 있을까?

그래서 옵셔널 변수나 상수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조건이 따른다.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옵셔널 값이 nil인지 점검해야 한다. 그리고 옵셔널 값이 nil이 아닐 떄에만 강제 해제 연산자를 붙여서 값을 추출해야 한다. 다음 구문을 보자.

1
2
3
4
5
6
7
8
var str = "123"
var intFromStr = Int(str)

if intFromStr != nil {
    print("값이 변환되었습니다. 변환된 값은 \(intFromStr!)입니다.") // ①
} else {
    print("값 변환에 실패하였습니다.") // ②
}

앞서 여러 차례 설명한 바와 같이 Int(문자열) 생성자는 옵셔널 정수값을 반환한다. 따라서 위 예제에서 Int(문자열)의 결과를 대입받는 intFromStr 상수 역시 옵셔널 타입으로 정의된다. 옵셔널은 값이 없는 nil이거나 정상적인 값을 옵셔널 객체로 둘러싼 두 가지 경우만 존재하므로 옵셔널 값이 nil인지를 if 조건절로 점검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는 조건절 블록 내에서만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이것이 오류 없이 안전하게 옵셔널 타입을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위 예제에서 Int(문자열) 생성자의 변환 대상이 되는 문자열 “123”은 숫자로 변환할 수 있는 문자열이므로 intFromStr은 nil이 아니다. 정확히는 Optional(123)이다. 따라서 if 조건절이 참이 되면서 ①의 내용이 실행되므로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값이 변환되었습니다. 변환된 값은 123입니다.

만약 대입된 값이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Swift” 문자열이라면 어떻게 실행될까?

1
2
3
4
5
6
7
8
var str = "Swift"
var intFromStr = Int(str)

if intFromStr != nil {
    print("값이 변환되었습니다. 변환된 값은 \(intFromStr!)입니다.") // ①
} else {
    print("값 변환에 실패하였습니다.") // ②
}

입력된 문자열은 Int(<문자열>)을 통해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값이므로 실행 결과는 nil이다. if 조건절이 거짓이므로 else 블록 영역인 ②가 실행된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값 변환에 실패하였습니다.

else 블록에서 ! 연산자를 사용하면 nil에 대한 옵셔널 강제 해제가 실행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 연산자는 확실히 옵셔널의 값이 nil이 아닌 조건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위 구문에서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부분이 있다. if에서 nil 값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 조건절이다.

1
intFromStr != nil

이 조건절에서 intFromStr와 비교연산자 != 사이에 의도적인 공백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공백은 단순히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추기된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연산자 앞에 공백이 있을 필요는 없다. 일부는 가독성을 위해 공백을 집어넣기도 하지만 그것은 습관일 뿐, 컴파일러의 규칙상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번처럼 옵셔널 타입의 nil 점검을 위한 !=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앞에 공백을 두어야 한다. 문법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intFromStr 변수처럼 옵셔널 타입의 값을 비교 연산자와 함께 사용하면서 공백을 두지 않으면 컴파일러는 이 구문을 다음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1
2
3
4
intFromStr!=nil

// 해석 ① : (intFromStr)!=(nil) -> 원래 의도한 대로 intFromStr 변수와 nil의 비교
// 해석 ② : (intFromStr)=nil -> intFromStr 변수의 옵셔널 강제 해제 + nil 값의 할당

결국, 해석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문이 모호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컴파일러는 이를 확실하게 해석하지 못하므로 구문 분석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옵셔널 타입이 비교 대상이라면 부등 비교 연산자(!=)를 사용할 때 공백을 두어야 한다.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십니다’가 생각나는, 의외로 띄어쓰기가 중요해지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2.2 옵셔널 바인딩

앞에서 우리는 nil 체크 조건절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옵셔널 타입을 해제할 수 있었다. 이 예제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비강제적인 해제 구문으로 바꾸어 작성이 가능하다. 이는 if 구문 내에서 조건식 대신 옵셔널 값을 일반 변수나 상수에 할당하는 구문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옵셔널 바인딩(Optional Binding)이라고 한다.

옵셔널 바인딩은 조건문 내에서 일반 상수에 옵셔널 값을 대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반드시 조건문에서 사용해야만 하며, 상수에 옵셔널 값을 대입한 결과는 true/false 로 리턴된다. 우리가 배운 대표적인 조건절인 if를 사용하여 옵셔널 바인딩하는 예제를 살펴보자.

1
2
3
4
5
6
var str = "Swift"
if let intFromStr = Int(str) {
    print("값이 변환되었습니다. 변환된 값은 \(intFromStr)입니다.")
} else {
    print("값 변환에 실패하였습니다.")
}

앞의 구문과 매우 비슷하지만, infFromStr가 상수로 선언되었다는 점과 이 상수가 옵셔널이 아닌 일반 타입이라는 점이 다르다.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옵셔널 값이 일반 변수나 상수에 할당되면서 자연스럽게 옵셔널 타입이 해제되지만, 값이 nil이더라도 값의 할당이 실패하여 결과값이 false로 반환될 뿐이므로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else 블록이 실행 될 뿐이다. 또다른 구문 하나를 보자.

1
2
3
4
5
6
7
8
func intStr(str: String) {
    guard let intFromStr = Int(str) else {
        print("값 변환에 실패하였습니다.")
        return
    }

    print("값이 변환되었습니다. 변환된 값은 \(intFromStr)입니다.")
}

위 구문은 guard 구문을 이용하여 옵셔널 바인딩을 구현한 예제이다. guard 구문은 특성상 함수나 메소드에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ntStr() 함수를 정의하고 그 안에 guard 구문을 작성하였다. 실제로 앱을 만드는 과정 거의 대부분은 함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guard 구문을 사용할 여지는 많다.

guard 구문을 사용하더라도 옵셔널 바인딩 방식은 동일하다. 상수를 선언하고, 여기에 옵셔널 값을 대입하는 것이 전부다. 하지만 사용 용법상 if 구문 내에서 옵셔널 바인딩을 사용하는 것과 구분해야 할 필요는 있다. if 구문을 사용한 옵셔널 바인딩은 단순히 옵셔널 값의 처리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주고 싶을 때 사용한다. 하지만 guard 구문은 조건에 맞지 않으면 무조건 함수의 실행을 종료시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실행 흐름상 옵셔널 값이 해제되지 않으면 더 이상 진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큰일이 생길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옵셔널 타입이긴 하지만 절대 nil 값이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있을 때에는 강제 해제 연산자를 사용하여 옵셔널 타입을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옵셔널과 관련하여, 앞 장에서 학습했던 딕셔너리에 값을 입력하고 사용하는 예제를 다시 살펴보자.

1
2
3
4
5
// 딕셔너리 선언
var capital = ["KR": "Seoul", "EN": "London", "FR": "Paris"]

print(capital["KR"])
print(capital["KR"]!)
1
2
3
// 실행 결과
Optional("Seoul")
Seoul

딕셔너리에 키로 접근하면 그 결과값은 옵셔널 타입으로 반환된다. 값을 출력한 결과를 확인하면 금세 알 수 있다. 옵셔널 타입 대신 일반 타입의 값을 얻으려면 capital[“KR”] 뒤에 ! 연산자를 붙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옵셔널 타입이 그대로 반환되어 예제에서 보는 것과 같이 Optional(“Seoul”)이 반환된다. 그런데 딕셔너리는 왜 옵셔널 타입의 값을 반환하는 것일까?

딕셔너리에 키로 사용될 수 있는 값은 Hashable 프로토콜이 구현된 모든 자료형이라고 설명했다. 정해진 숫자 0, 1, 2, 3…만 차례대로 들어갈 수 있는 배열과 달리 딕셔너리는 미리 정해진 키 값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키 사용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므로 키가 있는지를 점검하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딕셔너리에서 값을 읽을 때에는 존재하지 않는 키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딕셔너리는 주어진 키에 값이 비어있거나 입력된 키가 아예 없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nil을 반환해야 한다. 이 때문에 딕셔너리는 기본적으로 옵셔널 타입으로 정의된 값을 반환하게된다.

사실 위 코드 역시 잘 구성된 코드는 아니다. nil 여부를 체크하지 않고 ! 연산자를 사용하여 바로 강제 해제를 실행한 것 때문이다. 이를 그대로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보완하는 것이 좋다.

1
2
3
4
5
6
7
8
9
if (capital["KR"] != nil) {
    print(capital["KR"]!)
}

// 또는

if let val = capital["KR"] {
    print(val)
}

옵셔널 타입에서 ! 연산자를 사용할 떄는 반드시 nil 점검을 해 주어야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 잊지 말아야 한다.

2.3 컴파일러에 의한 옵셔널 자동 해제

옵셔널 타입의 값을 사용하려면 항상 ! 연산자를 사용하여 옵셔널을 강제 해제(Forced-unwrapping)하든가, 아니면 옵셔널 바인딩을 통해 일반 자료형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옵셔널 객체로 감싸진 값을 꺼낼 수 있다. 하지만 명시적으로 강제 해제를 하지 않아도 컴파일러에서 자동으로 옵셔널을 해제해주는 경우가 있다. 다음 예제를 보자

1
2
3
4
5
6
7
let optInt = Int("123")

if ((optInt!) == 123) {
    print("optInt == 123")
} else {
    print("optInt != 123")
}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한 옵셔널 상수의 값이 nil이 아니면 ! 연산자를 사용하여 옵셔널 값을 강제 해제하고 이 값을 정수 123과 비교하는 예제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optInt == 123

이번에는 강제 해제하지 않은 옵셔널 타입과 정수 123을 비교해보자.

1
2
3
4
5
if (optInt == 123) {
    print("optInt == 123")
} else {
    print("optInt != 123")
}

강제 해제하지 않은 옵셔널 값은 Optional(123)이므로 정수값 123과 다르다. 따라서 위 예제에서는 else 영역이 실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실행한 결과는 그렇지 않다.

1
optInt == 123

이상한 결과이다. 해제하지 않은 옵셔널 값 자체로 정수와 비교한 결과는 예상대로라면 일치하지 않는다고 나왔어야 한다. 그런데 결과는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어떻게 된 것일까?

옵셔널 타입으로 감싼 변수나 상수는 그 값을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 연산자를 사용하여 옵셔널 객체를 해제해야 한다. 하지만 굳이 해제하지 않아도 괜찮을 때가 있다. 옵셔널 객체의 값을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하는 경우가 그에 해당하는데, 명시적으로 옵셔널 객체를 강제 해제하지 않아도 한쪽이 옵셔널, 다른 한쪽이 일반 타입이라면 자동으로 옵셔널 타입을 해제하여 비교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아래의 예제에서 모든 결과는 true이다.

1
2
3
4
5
6
let tempInt = Int("123")

tempInt == 123              // true
tempInt == Optional(123)    // true
tempInt! == 123             // true
tempInt! == Optional(123)   // true

말하자면 비교 연산을 처리할 떄는 옵셔널 타입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일반 자료형처럼 값을 비교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는 옵셔널 타입에 값을 할당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1
2
var optValue01 = Optional(123)  // ①
var optValue02: Int? = 123      // ②

원칙적으로 옵셔널 타입의 변수나 상수를 정의할 떄는 대입할 값을 Optional() 객체로 감싼 ①의 방식으로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②처럼 감싸지지 않은 순수 리터럴을 직접 대입할 수도 있다. 주의할 점은 타입 어노테이션 없이 직접 대입하면 단순히 일반 Int 타입의 변수로 선언되므로 타입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여 Int 타입이면서 동시에 옵셔널 타입이라는 것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는 것 이다. 그러면 값 123은 대입될 대상이 옵셔널 타입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그것에 맞게 Optional(123)으로 변환된다.

2.4 옵셔널의 묵시적 해제

옵셔널 타입을 해제하는 방법 중에는 묵시적 해제(Implicitly Unwrapped Optional)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이것은 비록 옵셔널 타입이긴 하지만 값을 사용할 때에는 자동으로 옵셔널이 해제되기때문에 굳이 ! 연산자를 사용하여 해제할 필요가 없는 아주 편리한 구문이다. 컴파일러가 알아서 옵셔널을 해제해 준다는 점에서 방금 다루어 본 자동 해제와 유사하지만, 자동 해제가 비교 연산이나 값의 할당 등 일부 구문에 한정되는 것과 달리 묵시적 해제는 옵셔널 변수를 사용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옵셔널 변수의 타입을 선언할 떄 묵시적 해제를 미리 선언해 주어야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옵셔널의 묵시적 해제 구문은(이하 묵시적 옵셔널) 일반 옵셔널 타입의 변수 선언 구문과 매우 유사하다. ? 연산자 대신 ! 연산자만 붙여주면 그뿐이다. 먼저 일반 옵셔널 변수를 선언하는 구문을 보자.

1
2
3
// 명시적 옵셔널 선언
var str: String? = "Swift Optional"
print(str)

위 구문의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Optional("Swift Optional")

문자열 변수 str을 옵셔널 타입으로 선언하고, 여기에 “Swift Optional”이라는 문자열을 대입했다. 이를 출력해 보면 대입된 문자열이 옵셔널 객체로 감싸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 구문을 묵시적 옵셔널로 바꾸어 보자. 딱히 큰 수정이 필요하지는 않다. 단지 ? 연산자를 제거하고 ! 연산자로 그 자리를 대체하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결과는 사뭇 다르다.

1
2
3
// 묵시적 옵셔널 선언
var str: String! = "Swift Optional"
print(str)
1
Swift Optional

타입 어노테이션 뒤에 붙은 연산자 하나만 바꾸었을 뿐인데 결과는 전혀 달라졌다. 출력된 구문에서 옵셔널 객체가 사라졌다. 컴파일러에 의해 옵셔널 객체가 자동으로 해제된 것이다. 혹시 str 변수가 일반 타입인 것을 아닐까? 혹시 모르니 nil 값을 대입해 보자.

1
var str: String! = nil

nil을 대입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이는 곧 str이 옵셔널 타입으로 정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 연산자를 붙여 변수를 정의하면 옵셔널 타입이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옵셔널 타입을 사용할 때 필요한 강제 해제 연산자나 옵셔널 바인딩 과정 없이, 일반 변수처럼 다루어도 된다. 이는 묵시적 해제 선언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묵시적 옵셔널을 사용하면 옵셔널 타입 변수의 연산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1
2
3
4
5
var value01: Int? = 10
value01 + 5 // 오류

var value02: Int! = 10
value02 + 5 // 15

일반적으로 옵셔널 타입과 일반 타입을 직접 연산하는 것은 오류이지만, 묵시적 해제를 선언한 옵셔널 타입은 다르다. 직접 일반 타입과 연산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처럼 묵시적 해제를 선언한 옵셔널은 일반 타입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모든 경우에 묵시적 옵셔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옵셔널의 묵시적 해제 선언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 한 가지가 있는데, 바로 변수의 값이 nil이 될 가능성이 있다면 묵시적 옵셔널 해제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의아할 것이다. 변수가 nil이 될 가능성이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 옵셔널 타입인데 변수가 nil이 될 가능성이 있다면 사용하지 말라니. 그렇다면 도대체 언제 사용하는 것일까?

묵시적 옵셔널 해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한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바로,

“형식상 옵셔널로 정의해야 하지만,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절대 nil 값이 대입될 가능성이 없는 변수일 때”

이다. 다음 구문을 보자.

1
var value: Int! = Int("123")

이 구문은 Int(문자열)이 반환하는 값이 옵셔널 타입이기 떄문에 어쩔 수 없이 value 변수를 옵셔널 타입으로 선언해야 한다. 하지만 Int(“123”)은 누가 봐도 제대로 정수로 변환될 것이 확실하다. 이런 확실한 값에 굳이 옵셔널 처리를 해 줄 필요는 사실 거의 없다. 이때 위와 같이 value 변수를 묵시적 옵셔널로 선언한다면 옵셔널 타입 여부에 신경 쓰지 않고 일반 변수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가 묵시적 옵셔널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납득하기는 조금 어렵다. Int(“123”)! 처럼 대입하는 값 쪽에 강제 해제 연산자를 붙여주면 처음부터 value를 일반 변수로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묵시적 옵셔널이 정말 유용하게 사용되는 경우는 클래스 또는 구조체 내에서 이다. 주로 멤버 변수를 정의할 때 선언과 초기화를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아직 클래스를 배우기 전이므로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지금은 그냥 클래스에서는 묵시적 옵셔널 해제가 많이 사용되는구나 하는 정도로만 알고 있으면 될 것 같다.

많은 사람이 옵셔널 개념의 도입 여부에 대해 의문을 표시한다. 필요할 떄만 값의 여부를 점검하여 정상적으로 값이 있을 때 처리할 수 있도록 코딩하면 될 것을 뭐하러 까다롭고 번거로운 옵셔널 개념을 도입했는가에 대해 말이다. 그러나 옵셔널의 강점은 안전성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담보하는 과정에서 표현되는 코드의 간결성에 있다.

다음은 애플에서 스위프트 언어를 발표할 때 제시했던 코드로, nil 값을 점검하면서 사용하는 오브젝티브-C 코드와 이를 옵셔널을 사용하여 간결하게 표현한 스위프트 코드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이 처럼 옵셔널을 이용하여 간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문법을 옵셔널 체인(Optional Chain)이라고 하는데, 스위프트의 옵셔널 개념이 코드를 얼마나 간결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옵셔널 체인에 대한 문법은 클래스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1
2
3
4
5
6
// 오브젝티브-C 코드
if (myDelegate != nil) {
    if ([myDelegate respondsToSelector:@selector(scrollViewDidScroll:)]) {
        [myDelegate scrollViewDidScroll:myScrollView];
    }
}
1
2
// 스위프트 코드
myDelegate?.scrollViewDidScroll?(myScrollView)


이전 내용 보기 iOS 면접 질문 목록 보기 다음 내용 보기

Leave a comment